KAIST-LG화학ㆍLG에너지솔루션 산학협동프로그램

서명은 교수
  • 주소

    대전 광역시 유성구 대학로 291 한국과학기술원 기초과학동(E6-6) 202호 (교수 연구실), 기초과학동(E6-6) 216호(실험실)

  • 전화

    042-350-1119

  • 팩스

    042-350-1110

  • 이메일

    seomyungeun@kaist.ac.kr

  • 홈페이지

    http://nanopsg.kaist.ac.kr

  • 약력
    • 2013.2 – KAIST 나노과학기술대학원 조교수
    • 2009.10 – 2013. 1 미국 University of Minnesota 화학과 박사후연구원 (지도교수: Marc A. Hillmyer)
    • 2008.9 – 2009.10 KAIST 자연과학연구소 박사후연구원 (지도교수: 김상율)
    • 2004.3 – 2008.8 KAIST 화학과 박사 (지도교수: 김상율)
    • 2002.3 – 2004.2 KAIST 화학과 석사 (지도교수: 김상율)
    • 1998.3 – 2002.2 KAIST 화학과 학사

연구실소개

KAIST 나노과학기술대학원 고분자과학실험실에서는 다양한 중합 방법을 활용하여 새로운 고분자를 합성하고, 블록 공중합체 자기조립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쓸모있는 나노구조를 포함하는 고분자 재료로 만드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제어된 중합 방법을 통해 생각하는 대로 고분자를 만들 수 있는 고분자 화학과 고분자 사슬들이 스스로 제 위치를 찾아서 나노구조를 만드는 현상을 이해하고 예측할 수 있는 고분자 물리를 토대로 나노구조를 관찰하고 제어할 수 있는 나노과학기술과 목표하는 응용 분야에 대한 지식이 어우러져야 합니다. 따라서 우리 실험실은 고분자라는 공통된 키워드를 가지고 있는 다양한 분야의 학생들을 환영하며, 지금 이 순간에도 고분자와 나노과학기술에 관심을 가진 다양한 배경의 학생들이 모여서 하나가 되어 연구에 몰두하고 있습니다.

연구내용

나노다공성 고분자

나노다공성 고분자는 포함하는 세공의 크기에 따라서 기체의 분리, 물의 담수화, 한외 여과 등에 사용될 수 있는 응용 가능성이 높은 물질입니다. 우리는 어떻게 고분자를 만들면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에 맞게 다공성 고분자의 세공 크기를 조절하고 물질 전달에 이상적인 세공 구조와 기능성을 구현할 수 있을지에 관해 다양한 각도에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고분자 분리막

분리막은 특정한 물질을 우선적으로 투과시키는 고분자 재료로서 여과, 분리, 연료전지, 배터리 등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블록 공중합체에 물질의 투과도를 조절할 수 있는 고분자를 도입하고 이 블록이 물질이 이동하기 용이한 나노구조를 지닐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높은 효율의 분리막을 만들어 보려 합니다. 따라서 원하는 기능성을 지니는 고분자를 합성하고, 이를 다른 고분자와 조합하여 블록 공중합체를 만든 다음, 자기조립을 통해 나노구조를 구현함으로써 생각하는 분리막을 만드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성과

대표성과

  • M. Seo, M. A. Hillmyer, RAFT Copolymerization of acid chloride-containing monomers. Polym. Chem. 5, 21-219 (2014).
  • M. Seo, C. J. Murphy, M. A. Hillmyer, One-step synthesis of cross-linked block copolymer precursor to a nanoporous thermoset. ACS Macro Lett. 2, 617-620 (2013).
  • M. Seo, M. A. Hillmyer, Reticulated nanoporous polymers by controlled polymerization-induced microphase separation. Science 336, 1422–1425 (2012).
  • M. Seo, J. Park, S. Y. Kim, Self-assembly driven by an aromatic primary amide motif. Org. Biomol. Chem. 10, 5332–5342 (2012) (Perspective).
  • M. Seo, S. Shin, S. Ku, S. Jin, J.-B. Kim, M. Rhee, S. Y. Kim, Surface-independent vertical orientation of block copolymer thin films directed by comb-coil architecture. J. Mater. Chem. 20, 94–102 (2010).
  • J. H. Kim, M. Seo, S. Y. Kim, Lithographically patterned breath figure of photoresponsive small molecules: dual-patterned honeycomb lines from combination of bottom-up & top-down lithography. Adv. Mater. 21, 4130–4133 (2009).
  • M. Seo, B. J. Beck, J. M. J. Paulusse, C. J. Hawker, S. Y. Kim, Polymeric nanoparticles via noncovalent crosslinking of linear chains. Macromolecules 41, 6413–6418 (2008).
  • M. Seo, G. Seo, S. Y. Kim, Molecular self-assembly of macroporous parallelogrammatic pipes. Angew. Chem. Int. Ed. 45, 6306–6310 (2006).